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인플레이션, 고용, 통화정책 전망
안녕하세요,
라엘 브레이너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1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전망은 밝지만 최근 고용 보고서는 회복의 경로가 고르지 않고 예측이 어려울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라고 말했습니다. 덧붙여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는데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당분간 돈 풀기를 유지하겠다는 뜻입니다.
차기 연준 의장 후보군으로도 거론되는 브레이너드 이사는 최근 가열하는 인플레이션 논란엔 ‘일시적’이란 연준의 판단에 힘을 실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우려의 시선을 거두지 않고, 발표가 큰 효력이 없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브레이너드 이사 고용 전망
브레이너드 이사는 최근 고용 쇼크를 두고 “경제 회복이 과정이 평탄하지 않다”며 “앞으로 예측도 어려울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바이든 정부의 부양책에 따라 늘어난 개인 저축이 소비를 늘릴 것이라는 예상은) 그렇게 뚜렷하지 않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이날 미 경제기자협회(SABEW)가 협회가 주최한 화상 컨퍼런스에 나와 “고용과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목표와 거리가 멀다”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올해 초보다 균형이 잘 잡혀 있지만 백신 접종 주저, 더 치명적인 변이 바이러스, 일부 해외국의 확진자 재발로 위험은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연준은 최대 고용 달성과 함께 물가상승 목표인 2% 뿐만 아니라 상당 기간 이를 넘는 것도 용인하겠다면서 현행 기준금리 0~0.25%를 2023년까지 유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브레이너드 이사 인플레이션 전망
브레이너드 이사는 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4월 고용보고서상 일자리가 전문가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26만 6000개 증가에 그친 점을 언급, “연준이 지원을 거두기 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선 일시적으로 오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거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인플레이션 경로는 예측이 어렵지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는 짧은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과 함께 일시적으로 가격이 오르고 이 나라가 25년 이상 경험한 낮은 인플레이션 수준으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아울러 시장을 달구고 있는 인플레이션 논쟁에 대해서는 “예측은 어렵다”면서도 “물가 상승이 대부분 일시적일 것임을 시사하는 다양한 이유들이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다만, “낮은 인플레이션으로 돌아간다는 이런 전망이 옳은지 확실히 하기 위해 향후 몇 달간 인플레이션을 면밀치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장기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분명해지면 연준은 이를 우리 목표로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는 수단과 경험을 갖고 있다”며 “그렇게 하겠다는 우리 약속을 누구도 의심해선 안 된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질의응답 세션에서 연준이 잠재적인 경제 과열에 대해 우려하게 될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이 나오자,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의 기대치가 크게 변화하면, 경제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믿는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강력한 재정 지원이 (인플레이션을 올리는 방향으로) 올해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면서도 “정부 지원이 없다면 내년 성장은 상대적으로 더뎌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과거 경험에 비춰볼 때 기업들은 마진을 줄이고 자동화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가격을 낮춰 경쟁사들과 경쟁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브레이너드 이사 통화정책 전망
브레이너드 이사는 “전망보다는 결과에 기초한 통화정책이 우리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장밋빛 경제 전망에 맞춰 통화정책 방향을 바꾸기보다는 일단 돈 풀기 정책을 유지하며 지켜보겠다는 의미입니다.
브레이너드 이사 외에 연은 총재들도 잇따라 언론 인터뷰 등에 나와 긴축으로 돌아설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냈습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총재,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총재,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총재,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총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총재,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총재 등입니다.
하지만 시장은 인플레이션 공포를 걱정합니다. 당장 12일 발표되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목이 쏠렸습니다. 3월 치가 이미 2.6%로 나와 인플레이션 논란을 촉발한 바 있습니다. 다우존스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4월 CPI가 전년 대비 3.6% 오를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의 창업자 레이 달리오도 인플레이션을 우려했습니다. 이날 월스트리트 저널(WSJ) 주최 행사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의 과감한 재정지출이 경제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입해 거품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아울러 미 국채 매입 신규 수요가 충분치 않아 연준이 확장적 통화정책을 이어가야 할 거라고 예상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댓글